1. 정의

옥상정원이란 인공건물의 옥상이라는 지반 위에 인공적으로 토양을 조성해 도심 속 자연을 누릴 수 있게 만든 유형입니다. 정원 조성을 위한 공간 확보가 어려운 도심에서 옥상정원은 환경을 보전하고 복원하는 방법으로 연구되고 있습니다. 옥상정원은 시설 이용 목적에 따라 성격이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2. 유래 및 역사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지구라트(Ziggurat)는 BC 600년대에 존재했던 최초의 인공 옥상정원입니다. 지구라트는 여러 층으로 구성된 거대한 석조 계단식 탑상(塔像) 구조물로, 테라스에는 교목과 관목을 식재했습니다. 또한,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인 바빌론의 공중정원(The hanging gardens of Babylon)은 정원 역사 중 가장 유명한 옥상정원의 사례입니다. 석조건물 위에 조성된 공중정원은 옥상에 각종 식물을 층층이 심어 조성했습니다.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에는 수도원이나 성당을 중심으로 옥상정원을 조성했으며, 17~18세기에는 권위를 나타내는 수단으로 활용되었습니다. 19세기 미국과 유럽에서는 카지노, 연극, 뮤지컬, 연주회 등이 열리는 문화공간과 함께 조성되어 1890년대까지도 카지노, 극장과 더불어 시내 오페라 공연의 중심 역할을 했습니다.

1920년대부터 고층 아파트라는 새로운 형태의 주거가 유행하면서 옥상정원이 있는 주상복합건물은 상류층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현대에는 부의 상징을 떠나 급격한 도시화에 따른 대기오염, 도시 열섬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자연 생태계를 모방한 옥상정원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3. 용도 및 기능

① 환경적 기능

야생에 가까운 자연환경을 도심에 구축하여 생태계 복원과 종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일시적인 빗물 저장소 역할을 하여 도시 홍수를 예방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유거수(지면 위로 흐르는 물)의 오염물질을 걸러 수질이 개선되며, 수목과 화초류를 심 어 공기정화, 탄소격리, 도시 열섬현상 완화, 소음공해 차단의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② 경제적 기능

옥상 지면의 온도 상승을 예방해 건물의 수명을 늘릴 수 있으며, 도심부의 냉 · 난방 감소, 대기 중 습도 조절 등 에너지 절약에 도움이 됩니다.

③ 심미적 기능

공공 관계 구축을 통한 사회적 이미지 개선 효과가 있으며, 생활 편의 시설로 기능하며 문화 발달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4. 구조 및 구성

① 지붕 경사각

지붕 경사각이 9.5℃ 이상이면 흙이 유실되고, 완만한 지형에 비해 배수가 빨라져 식재된 식물의 건조에 의한 수분 스트레스 위험이 높아집니다.

② 관리방식에 따른 유형

저관리형(extensive green roof) 옥상정원은 생태 보호의 역할이 크다는 면에서 자연주의정원과 유사합니다. 반집중관리형(semi-intensive green roof)은 옥상녹화 목적의 디자인 성격을 띠며, 집중관리형(intensive green roof)은 인위적 요소가 많고 관리를 많이 해야 하는 공 원식 정원입니다.

③ 토층

옥상정원은 인공지반 위에 조성되기에 식물의 원활한 생육을 위해 다양한 토층을 형성해야 합니다. 여기에는 방수층(waterproof membrane) · 방근층(root protection barrier) · 배수층(drainage layer) · 여과층(filter mat) · 토양층 · 식생층이 포함되며, 배수를 위한 다양한 자재와 시설이 요구됩니다.

옥상정원 구조 및 구성

5. 추천 식물 특성

① 얕은 토심에서 잘 자라는 식물

옥상정원을 조성할 때는 인공 기반 구축과 정원 유지를 위한 구조물 · 시설물 설치가 필수적이며, 그에 따라 관수 및 배수 환경이 달라집니다. 보통 식재 기반이 20cm 전후의 토심에 형성되기에 뿌리가 아래보다는 옆으로 뻗는 천근성(뿌리가 지표면에 가까 운 곳에 분포) 식물과 부정근(뿌리가 아닌 조직-줄기 등-에서 발생하는 뿌리)이 잘 형성되는 종이 적합합니다.

② 직사광선과 주·야간 기온 차를 견딜 수 있는 식물

옥상은 일조시간이 길고 자외선이 강하며, 낮과 밤의 온도차가 크게 나타납니다. 그렇기에 직사광선과 기온 차를 잘 견디는 식물이 적합합니다.

➂ 강한 바람과 건조에 잘 견딜 수 있는 저관리형 식물

옥상정원은 건물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해야 하기에 토심이 얕고 건조합니다. 또한, 바람이 강하고 일교차가 커서 온도 변화의 폭이 크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런 열악한 환경에서 건전한 생육을 지속하려면 수분 스트레스가 적고 내건성이 우수하며 관리 필요성이 낮은 식물을 심는 것이 좋습니다.

추천식물

구절초(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a), 돌마타리(Patrinia rupestris), 두메부추(Allium dumebuchum), 꿩의비름(Hylotelephium erythrostictum), 띠(Imperata cylindrica), 층꽃나무(Caryopteris incana), 털개회나무(Syringa patula), 쇠물푸레나무(Fraxinus sieboldiana), 보리수나무(Elaeagnus umbellata), 아구장나무(Spiraea chartacea)

6. 정원 조성 방법

정원은 구상-디자인-시공-관리 단계를 거쳐 조성됩니다. 각 과정에서 유의해야 할 사항들이 잘 고려되었는지 아래 표를 통해 점검해 보시기 바랍니다.

구상 목적과 이용자 설정 정원의 용도와 목적, 주 이용자 설정하기
희망하는 정원 양식과 관리도 결정하기
부지 분석 및 규정 확인 부지의 평면도를 작성하고 환경조사와 분석(디자인, 식물 선정)하기
디자인 디자인 국내 환경을 고려한 옥상정원 조성 사례 이미지 또는 식재 도면 확보하기
옥상정원의 활용성 및 관리 방식(저관리형/반집중관리형/집중관리형) 고려하기
허용 하중을 고려하여 조성이 가능한 범위의 디자인 설정하기
공간 가벼운 소재의 화단 및 경계를 활용하여 식재 구역과 동선을 구획하기
구조물 배수성과 하중을 고려하며 구조물 배치하기
식재 긴 일조시간과 강한 광도 및 자외선에서 잘 자라는 식물
바람이 많이 부는 옥상 환경에 저항성이 있는 식물
심미적 기능 유지를 위해 사계절 경관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식물
내건성 및 내한성이 강한 다년생 식물
시설물 수도관 동파 방지를 고려한 관수 시설 계획하기
경관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 정원 도구 보관함, 관수 시설 등 고려하기
건조로 인한 과도한 토양수분 증발 방지를 위해 가벼운 소재로 멀칭(바닥덮기)하기
기타 식물 생장을 고려하고 부지 환경과 식재 계획이 표현된 실시 설계도면 그리기
시공 시공 준비 작업 공정표를 작성하고 시공 예산 계산 및 집행 계획 세우기
필요한 품목(자재, 장비, 식물재료) 구입하기
기반 작업 부지를 정리한 뒤 터파기, 정지 작업 진행하기
식재 공간과 관람 공간을 구분한 후 포장 공사하기
디자인 단계에서 계획한 구조물과 시설물 설치하기
원활한 배수를 위해 정원 토층을 지속적으로 점검·보수할 수 있도록 공사하기
식재 식물을 도면에 맞게 식재하고 멀칭하기
마무리 식물 관수와 주변 청소하기
관리 계획 주간/월간/연간/계절 기간 관리 계획 수립하기
도구와 자재 도구와 자재를 구매하고 비치하기
식물 식물 종별 관수, 시비, 멀칭 방법 숙지하고 진행하기
식물 종별 증식, 이식, 보식 방법 및 시기 숙지하고 진행하기
식물 종별 병해충 방제, 전정 방법 및 시기 숙지하고 진행하기
정원 내부 예초 및 제초 작업하기
외래 침입종 제거 계획하기
농약 살포 지양을 위해 친환경 방제 진행하기
제한된 토양 환경을 고려하여 주기적으로 관리하기
정원 폐기물 고사 식물체, 낙엽 등 폐기물 발생량을 줄이기 위해 퇴비 만들어 사용하기
화분 등 폐기물 분리수거 하기

7. 참고 자료

  1. 대한건축학회 건축용어사전-옥상정원
  2. Korea National Arboretum (2020) WEBZINE VOL. 135. Accessed on July 2023
  3. Nigel D and Noel K (2008) Planting Green Roofs and Living Walls. Timber Press
  4. OSMUNDSON T (2000) Roof Gardens. Bomoondang, Seoul

8. 사례

차례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