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

건물이나 구조물 내에 조성하는 실내정원은 쾌적한 생활공간과 휴게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산업화로 인한 열악한 외부환경과 실내 활동시간 증가에 따라 일상에서 자연을 이용하기 위해 조성한 정원입니다.

2. 유래 및 역사

약 3천 년 전 이집트 룩소르(Luxor) 벽화에는 당시 여왕 하셉수트(Hatshepsut)가 에티오피아에서 수집한 식물로 방을 장식한 모습이 그려져 있습니다. BC 201~400년 고대 이집트와 그리스에서는 화분 식재로 실내를 장식해 꽃을 감상했고, 파티오(patio)라고 부르는 건물 중정에도 화분을 배치했습니다. 로마에서는 아트리움(atrium)이라는 공간에 화분을 놓거나 꽃바구니를 매달아 실내를 장식했습니다.

16세기 서유럽에서는 감귤류나 야자류 등 추위에 약한 식물을 월동시키기 위한 시설인 오랑주리가 고안되었으며, 겨울에 이국적인 식물을 실내에서 감상하는데 쓰이기도 하였습니다. 19세기에 들어서는 유리세와 창문세가 폐지된 영국을 중심으로 건물의 창문이 커지고 많아지는 경향이 나타나 실내에서 식물을 키우기 더 유리해졌습니다. 이에 따라 양치류, 난초류, 이국적인 열대 관엽식물류 등을 걸이화분(행잉 바스켓) 등 여러 형태의 용기에 담아 가꾸는 문화가 발달하였습니다. 20세기에는 도시 계획을 수립할 때 환경과 기능 개선을 위해 대형 건축물에 오픈 스페이스(open space)라는 개념을 도입하게 됩니다. 이는 1970년대 인테리어 플라자(interior plaza)라는 형태로 성행하며 실내조경 규모를 확대하는 계기가 되었고, 이후 다방면으로 실내정원의 진화·발전이 이루어졌습니다.

동양의 실내정원은 BC 3000년경에 중국에서 유래되었으며, 식물을 용기에 심어 건물 내부를 장식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BC 500년경의 중국 벽화에는 꽃과 나무를 실내 장식용으로 이용한 모습이 그려져 있으며, 후한 시대(AD 25~220년) 고분벽화에서도 실내에 분재를 배치한 장면이 발견되었습니다. 실내정원에 대한 한반도의 문헌 기록은 삼국 시대부터 나타나고 있으며, 조선시대에는 『양화소록』, 『화암수록』 등 원예서와 여러 문인의 문집에서 다양한 식물들을 화분에 담아 실내에서 감상한 기록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1884년에 이르러서는 국내 최초의 서양식 주거 공간이 지어졌으며, 이를 계기로 실내정원의 형태도 서양식으로 크게 변화하였습니다.

3. 용도 및 기능

① 환경적 기능

실내 습도 조절을 비롯해 이산화탄소·미세먼지·휘발성 유기화합물 등 오염물질을 일부 제거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② 복지 기능

실내정원을 조성하면 알파파, 코티졸 등 뇌파를 생성하고 호르몬 분비를 자극해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합니다. 또한, 식물 관리를 통한 원예치료, 여가 활동 기회 제공 등의 효과가 있습니다.

③ 공간 기능

대형 공공건물에 조성된 실내정원은 공간의 경계를 형성하는 다목적 실내광장의 역할을 합니다.

실내정원 용도 및 기능

4. 구조 및 구성

① 형태

실내정원은 크게 화분정원, 행잉정원, 수직정원 등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화분 정원은 식물을 화분에 심어 배치하는 형태이며, 행잉정원은 천장, 벽면, 난간 등에 화분을 걸어두는 형태입니다. 수직정원은 벽면에 식물을 배치한 정원으로 관수 시설이 필요합니다. 이런 다양한 실내정원은 공간에 입체감을 부여합니다.

② 토양 및 수 공간

실내정원을 꾸준히 관리하려면 병충해나 잡초의 오염이 없고 가벼운 원예용 상토, 펄 라이트, 피트모스 등 인공 토양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관비(장치를 통해 물 과 양분을 공급하는 것)를 통해 주기적으로 영양을 공급하면 건전한 생장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실내에 인공 폭포 등을 조성하면 가습, 청량감, 안정감 부여 등의 효과가 있습니다.

5. 추천 식물 특성

① 생육에 빛을 많이 필요로 하지 않는 식물

실내의 광도는 보통 약 10~50μmol·m⁻²·s⁻¹ 정도로 야외보다 현저히 낮아 저광도 환경에 적합한 식물을 배치해야 합니다. 식재 전후로 식물이 실내 광도에 적응할 수 있도록 약 2~4주의 광순화 기간이 필요합니다. 직사광선이 유입되는 공간에서는 부분 차광을 활용하고, 일조시간이 짧고 광도가 낮은 조건에서는 인공광원으로 광을 보충합니다.

② 얕은 토심에서 잘 자라는 식물

실내정원은 인공 토양으로 조성되며, 정원 유지를 위한 구조물과 시설물을 설치해야 합 니다. 또한, 토심이 얕은 화단이나 화분을 활용하기 때문에 뿌리가 길게 뻗는 종보다는 부정근(뿌리 외의 조직-줄기 등-에서 발생하는 뿌리)이 잘 형성되는 종이 적합합니다.

➂ 수경재배 가능한 식물

공간 활용이 제한적인 실내에서 수경으로 재배하면 분갈이나 토양 관리의 번거로움이 줄고 식물의 빠른 성장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이때는 정체된 물에 뿌리 일부가 계속 잠겨 있기에 침수조건을 견딜 수 있는 식물을 골라야 합니다.

➃ 내병성이 강하고 주·야 기온 차가 적은 곳에서 잘 자라는 식물

실내는 대기 순환이 잘 안되며 토양 배수성이 낮아 지하부의 습도가 높은 경향이 있습 니다. 이에 다양한 병충해가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또한, 실내 온도가 일정 한(13~25℃) 수준에서 유지되기에 주·야간 기온 차가 적습니다. 그렇기에 온도가 일정할 때 잘 자라고 내병성이 강한 식물이 적합합니다.

추천식물

산호수(Ardisia pusilla), 마삭줄(Trachelospermum asiaticum), 맥문아재비(Ophiopogon jaburan), 털머위(Farfugium japonicum), 석창포(Acorus gramineus), 가는쇠고사리(Arachniodes exilis), 더부살이고사리(Polystichum lepidocaulon), 후추등(Piper kadsura), 식나무(Aucuba japonica), 팔손이(Fatsia japonica)

6. 정원 조성 방법

정원은 구상-디자인-시공-관리 단계를 거쳐 조성됩니다. 각 과정에서 유의해야 할 사항 들이 잘 고려되었는지 아래 표를 통해 점검해보시기 바랍니다.

구상 목적과 이용자 설정 정원의 용도와 목적, 주 이용자 설정하기
희망하는 정원 양식과 관리도 결정하기
부지 분석 및 규정 확인 부지의 평면도를 작성하고 환경조사와 분석(디자인, 식물 선정)하기
디자인 디자인 국내 환경을 고려한 옥상정원 조성 사례 이미지 또는 식재 도면 확보하기
실내정원의 형태(화분/행잉/수직) 선정하기
허용 하중을 고려하여 조성이 가능한 범위의 디자인 설정하기
공간 형태 특성에 맞는 식재 공간 경계를 설정하고 동선을 구획하기
선정 식물에 적합한 환경(광, 온도, 상대습도 등) 조건 설정하기
구조물 배수성과 하중을 고려하며 구조물 배치하기
식재 저광도 환경에서 잘 자라는 식물
일정한 온·습도가 유지되는 환경에서 생육이 건전한 식물
내병성이 강한 식물
제한된 높이 공간에 원활히 생장 가능한 식물
불쾌한 향이 없고 꽃가루 및 종자 솜털 등 실내 환경 오염물이 없는 식물
시설물 관수 및 배수 시설 고려하기
기타 가벼운 인공 토양 활용하고 양분(과립형 양분/액비/부엽토 등) 공급 계획하기
식물 생장을 고려하고 부지 환경과 식재 계획이 표현된 실시 설계도면 그리기
시공 시공 준비 작업 공정표를 작성하고 시공 예산 계산 및 집행 계획 세우기
필요한 품목(자재, 장비, 식물재료) 구입하기
기반 작업 식재 공간을 형성하고 관수 및 배수 시설 설치하기
식재 공간과 관람 공간을 구분한 후 포장 공사하기
디자인 단계에서 계획한 구조물과 시설물 설치하기
식재 식물을 도면에 맞게 식재하고 멀칭(바닥덮기)하기
마무리 식물 관수와 주변 청소하기
관리 계획 주간/월간/연간/계절 기간 관리 계획 수립하기
도구와 자재 도구와 자재를 구매하고 비치하기
식물 식물 종별 관수, 시비, 멀칭 방법 숙지하고 진행하기
식물 종별 증식, 이식, 보식 방법 및 시기 숙지하고 진행하기
식물 종별 병해충 방제, 전정 방법 및 시기 숙지하고 진행하기
농약 살포 지양을 위해 친환경 방제 진행하기
제한된 토양 환경을 고려하여 주기적으로 관리하기
정원 폐기물 고사 식물체, 낙엽 등 폐기물 발생량을 줄이기 위해 퇴비 만들어 사용하기
화분 등 폐기물 분리수거 하기

7. 참고 자료

  1. Extension (2021) How to install a Rain garden
  2. Rain garden history: Stormwater best management practices, Montgomery County Conservation District
  3. Urban Runoff (1995) Nonpoint Source News-Notes. No. 42. Washington, D.C.: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4. 포틀랜드 폭우관리법. Accessed on November 2023, https://www.portland.gov/bes/stormwater/how-wemanage- stormwater
  5. Designing Rain Gardens: A Practical Guide, Urban Design London

8. 사례

차례보기
close

차례

정원 유형목록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