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

수직정원은 식물을 식재한 화분을 벽면, 난간 등 수직적인 공간에 배치한 뒤 광, 온도, 습도 등 생장에 필요한 다양한 환경을 적절히 조성한 정원 유형입니다. 식물 배치를 통해 다양한 디자인의 선, 도형을 만들 수 있으며, 건전한 생장이 가능하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수직정원은 현대화에 따라 자연과 멀어져가는 인간이 자연 친화적으로 조성·이용할 수 있는 공간인 만큼 전 세계의 여러 도시에서 활용되는 형태입니다.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는 입면 녹화, 벽면 녹화, 건축 녹화, 수직 농업 등이 있습니다.

2. 유래 및 역사

바빌론의 공중정원(The hanging gardens of Babylon)은 고대에 조성된 거대한 인공 옥상정원인 동시에 수직정원입니다. 자연에 인간이 개입한 테라포밍(terraforming) 기술을 활용해 인간의 우월성을 강조 했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고대부터 트렐리스(trellis)와 퍼골라(pergola) 같은 수직성 구조물은 수직정원의 기본적인 배치 요소로 활용되어 왔습니다. 19세기 초에는 금속 제련 기술이 발달하며 걸이형 화분 사용이 일반화되었습니다.

3. 용도 및 기능

① 환경적 기능

도심의 수직정원은 옥상정원과 마찬가지로 녹지율을 늘리며 작은 생태계를 조성합니다. 이런 정원은 수분매개체의 유입과 식물 번식에 효과적이며, 꾸준히 정원을 관리하고 이용한다면 다양한 긍정적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② 경제적 기능

수직정원을 건물 외벽에 조성하면 산성비로 인한 건축물 부식이 방지되며,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소리 파장(울림), 반사광(눈부심)이 줄어듭니다. 또한, 빗물 흐름을 지연시켜 도시 홍수를 예방하며, 옥상정원과 마찬가지로 건물 내부 온도 유지, 냉·난방 에너지 절감으로 경제적 효과도 누릴 수 있습니다.

③ 심미적 기능

건물 외관과 도로 경관이 좋아지며, 도시의 미적 가치가 높아집니다.

4. 구조 및 구성

① 형태

고정형인 자연녹벽과 이동 가능한 모듈형인 인공녹벽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런 형태적 분류에 따라 식재 밀도, 관리 요소가 달라집니다.

자연녹벽(고정형)
세부 유형 조성 방법 및 특성
줄당김형 와이어로 덩굴식물의 생장 방향을 유도
격자형 금속 또는 나무 소재 격자를 활용하여 식물을 벽과 분리
자유 덩굴형 건물 주변 토양에 덩굴성 식물을 식재하여 외벽을 녹화
인공녹벽(모듈형)
세부 유형 조성 방법 및 특성
수경형 수직 벽 상단에 수경재배용 식물을 심고 관수용 물을 순환시켜 뿌리에 직접 양분을 공급
용기형 지면 식재가 가능한 식물을 수직 녹화에 사용하는 방법으로, 고밀도 식재 가능
화분형 화분을 독립된 모듈로 활용하여 다양한 조형이 가능하며 식물 교체가 용이
벽걸이형 각 녹화 모듈이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장기간 유지가 가능하고 시공과 식물 교체가 용이

5. 추천 식물 특성

① 강건하며 척박한 곳에서 잘 견디는 식물

수직정원은 벽면에 조성하기 때문에 식물 생육에 적합한 환경 조건을 갖추기 어렵고, 빈번하게 보식하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내건성, 내음성, 내풍성 등 다양한 환경 스트레스에 강한 종을 식재해야 합니다. 스트레스에 강한 식물은 건전한 생육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 관리가 수월합니다. 또한, 자가 번식이 가능한 식물 종을 활용하면 모체의 생육 불량이나 고사가 발생해도 기존 경관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② 제한된 공간에 적응할 수 있는 식물

수직정원에 활용하는 식물은 화분이나 식생 매트 등 제한된 공간에서 생육합니다. 그렇기에 성장이 더딘 수종이나 뿌리가 깊게 뻗지 않는 천근성(뿌리가 지표면에 가까운 곳에 분포) 수종을 추천합니다.

➂ 상록성 식물

벽면을 장식하는 수직정원은 연중 내내 경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피고 지는 꽃보다는 상록의 잎을 많이 활용하며, 색·무늬·질감 등 형태적 가치가 높은 관엽식물을 많이 선택합니다. 또한, 관리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열매나 낙엽이 적게 생기는 종을 추천합니다. 수직정원을 실외에 설치할 때는 내한성이 높은 상록성 수종을 심는 것이 좋습니다.

추천식물

부처손(Selaginella involvens), 송악(Hedera rhombea), 애기모람(Ficus thunbergii), 석위(Pyrrosia lingua), 세뿔석위(Pyrrosia hastata), 도깨비쇠고비(Cyrtomium falcatum), 바위고사리(Odontosoria chinensis), 파초일엽(Asplenium antiquum), 일엽초(Lepisorus thunbergianus), 펠리온나무(Pellionia scabra)

6. 정원 조성 방법

정원은 구상-디자인-시공-관리 단계를 거쳐 조성됩니다. 각 과정에서 유의해야 할 사항 들이 잘 고려되었는지 아래 표를 통해 점검해 보시기 바랍니다.

구상 목적과 이용자 설정 정원의 용도와 목적, 주 이용자 설정하기
희망하는 정원 양식과 관리도 결정하기
부지 분석 및 규정 확인 부지의 평면도를 작성하고 환경조사와 분석(디자인, 식물 선정)하기
디자인 디자인 국내 실·내외 환경을 고려한 수직정원 조성 사례 이미지 또는 식재 도면 확보하기
수직정원 조성 유형 및 관리도에 따른 디자인 선정하기
공간 식물 생장 및 생육에 적합한 광, 온도 환경에 맞는 배치와 동선 계획하기
관람 동선의 흐름, 시각적 전환 등 디자인에 맞는 효과적인 공간인지 점검하기
구조물 식재 식물 잎에 의한 풍압과 토양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구조물인지 검토하기
사용 가능한 예산 범위 및 설치 난이도에 적합한 녹화시스템 선정하기
식재 선택한 녹화시스템 환경 및 관리에 적합한 식물 선택하기
식물의 생장 한계 높이를 고려하여 설치 장소가 식물과 조화로운지 확인하기
실내 조성 시, 식물의 일조량이 부족한 경우 광 요구량이 적은 식물
주로 도시 미화 및 관상 가치 증대를 위한 상록성 식물
관리 효율을 위해 광 요구도 및 관수 주기가 유사한 식물
입체감보다 평면적 디자인을 고려할 경우 이끼류 활용하기
원하는 식재 패턴 및 디자인에 적합한 질감, 모양, 색상의 잎을 가진 식물
시설물 배수시설이 확보되어있는지 확인하기
인공광원을 통한 보광 시설 확보하기
기타 식물 생장을 고려하고 부지 환경과 식재 계획이 표현된 실시 설계도면 그리기
시공 시공 준비 작업 공정표를 작성하고 시공 예산 계산 및 집행 계획 세우기
필요한 품목(자재, 장비, 식물재료) 구입하기
기반 작업 디자인 단계에서 계획한 녹화(綠化) 시스템, 구조물 및 시설물 설치하기
식재 식물을 도면에 맞게 식재하고 멀칭(바닥덮기)하기
마무리 식물 관수와 주변 청소하기
관리 계획 주간/월간/연간/계절 기간 관리 계획 수립하기
도구와 자재 도구와 자재를 구매하고 비치하기
식물 식물 종별 관수, 시비, 멀칭 방법 숙지하고 진행하기
식물 종별 증식, 이식, 보식 방법 및 시기 숙지하고 진행하기
식물 종별 병해충 방제, 전정 방법 및 시기 숙지하고 진행하기
식재 초기 안정적인 뿌리 활착을 위해 수시 관수와 적절한 시비 진행하기
정원 폐기물 고사 식물체, 낙엽 등 폐기물 발생량을 줄이기 위해 퇴비 만들어 사용하기
화분 등 폐기물 분리수거 하기

7. 참고 자료

  1. 한은홍, 최혜영 (2018) 도시 오픈스페이스 식재 기능에 적합한 ‘수직정원(Vertical Garden)’ 유형 설정 연구. 한국조경 학회, 2018.11a, 57-59
  2. Vertical Gardens (2007) Anna Lambertini, Jacques Leenhardt, Mario Ciampi (Photographer), Verba Volant
  3. 류효매, 김은정, 홍관선 (2014) 건축공간에서의 Vertical Garden의 활용에 관한 연구-건축물 외벽면 디자인 활용방법.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3(4), 12-22

8. 사례

차례보기
close

차례

정원 유형목록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