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

공동체정원은 공동체를 기반으로 텃밭 가꾸기 및 원예 활동을 영위하기 위해 조성된 정원 유형입니다. 심신의 건강, 여가, 친환경 식자재, 공동체성 회복, 자연경관 등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커진 데에 영향을 받았습니다.

2. 유래 및 역사

공동체정원은 1890년 미국 디트로이트(Detroit)에서 등장한 개념으로, 도시 실직자에게 토지와 기술을 지원하고 청소년의 시민의식과 업무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 있었습니다. 20세기 들어서는 학생들의 자연 체험, 신체 건강 강화를 위한 학교정원으로 확대되었습니다.

두 번의 세계 대전(1918년, 1940년)과 대공황(1930년)을 거치면서 사회 구성원의 조직력 증대와 식량 자급 공간으로 주목받기도 했습니다. 특히 1934년에는 2,300만 이상의 가구에서 약 3,600만 달러 가치의 작물이 재배·수확된 기록이 있습니다.

전쟁 종식 이후 1970년대에는 도시 거주자의 자연 영위, 이웃 간 소통, 인플레이션, 환경 문제 등 다양한 이유로 각국 정부가 주도해 공동체정원을 형성했습니다. 오늘날에는 사회적 연결, 녹지공간 제공 등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3. 용도 및 기능

① 사회적 기능

공동체정원은 도시 내 녹지공간을 확보하고 공동체성을 증진함으로써 심신의 건강, 사회적 교류, 정보 교환 등의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습니다. 이에 공동체 붕괴와 환경오염 등 사회적 문제의 해결책으로 해석되고 있으며, 황폐해지거나 방치된 구역을 정원으로 개발하면 범죄율이 줄어 치안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② 경제적 기능

아파트와 같이 녹지나 정원 공간이 부족한 현대사회의 주거 형태를 보완하는 데에 공동체정원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식자재나 관상용 화훼류 등 원예작물을 생산함으로써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4. 구조 및 구성

① 공동체 형성

공동체를 형성하고 활성화하는 공동체정원은 유지와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세부적으로는 청소년/학교정원(youth/school garden), 직업훈련용 정원(entrepreneurial/job training market gardens), 공동정원(communal garden), 식자재정원(food pantry garden), 치유정원(therapy garden), 시범정원(demonstration garden) 등으로 분류됩니다.

② 공동 구역

공동체정원에서는 컨테이너와 같이 구역화할 수 있는 구조물이나 시설물을 활용해 공동체 활동을 위한 공간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공동 구역은 상호교류, 교육, 휴식, 정원용품 관리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③ 식재 공간의 구역화 및 환경조성

식재 공간은 개인 구역과 공동 구역으로 구분해야 합니다. 한 평 정원 형태의 개인 구역은 텃밭으로 많이 이용되지만, 공동 구역은 대개 정원으로 조성되어 식물을 보식하고 지속해서 관리합니다. 식재 공간은 식물의 생장에 적절한 환경을 유지해야 하는데, 넓고 평평한 부지가 유리하며 최소 6~8시간의 일조량이 보장되는 곳이 좋습니다.

③ 프로그램

공동체정원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관련 프로그램이 진행될 필요가 있습니다. 어린이집, 노인정 등 인근의 단체와 연계해 정원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5. 추천 식물 특성

① 병충해에 내성이 있고 수확할 수 있는 식물

정원의 병충해 관리는 중요하지만, 구성원에 따라 바라는 바가 달라 진행 방법도 상이합니다. 병충해를 잘 견디는 수확작물을 선택한다면 구성원의 교류와 지속적인 운영에 도움이 됩니다.

② 월동이 가능하며 관상 가치를 가진 식물

공동체정원에는 채소류뿐 아니라 다양한 원예작물을 식재할 수 있습니다. 구성원의 개성이 잘 표현된 공동체정원을 만들기 위해 관상 가치가 있는 다년생 초화류의 식재 범위를 넓히는 것이 좋습니다.

추천식물

다래(Actinidia arguta), 둥굴레(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눈개승마(Aruncus dioicus), 갯기름나물(Peucedanum japonicum), 아그배나무(Malus toringo), 산사나무(Crataegus pinnatifida), 채진목(Amelanchier asiatica), 해당화(Rosa rugosa), 고광나무(Philadelphus schrenkii), 산옥매(Prunus glandulosa)

6. 정원 조성 방법

정원은 구상-디자인-시공-관리 단계를 거쳐 조성됩니다. 각 과정에서 유의해야 할 사항들이 잘 고려되었는지 아래 표를 통해 점검해 보시기 바랍니다.

구상 목적과 이용자 설정 정원의 용도와 목적, 주 이용자 설정하기
희망하는 정원 양식과 관리도 결정하기
부지 분석 및 규정 확인 부지의 평면도를 작성하고 환경조사와 분석(디자인, 식물 선정)하기
디자인 디자인 국내 환경을 고려한 공동체정원 조성 사례 이미지 또는 식재 도면 확보하기
공동체정원 운영 목적과 구성원들의 특징(연령, 직업 등)을 고려한 정원 디자인 설정하기
공간 개인 구역과 공동 구역을 구분하여 운영하기
공동체가 효율적인 정원 조성 및 관리할 수 있는 동선을 설정하여 내부 구획하기
구조물 공동체정원 경관을 향상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 활용하기
구성원 안전에 위협되거나 개인정원을 침범할 수 있는 구조물의 배치는 제외하기
식재 공동체가 함께 나눌 수 있는 원예작물 식재 고려하기
정원의 경관을 유지할 수 있는 관상식물 식재하기
병해충 방지 목적의 화학물질 사용 지양을 위해 내병성이 강한 식물
제초 빈도를 낮추기 위한 경합 능력과 길이 생장이 우수한 식물
수확작물 재배를 위해 그늘을 형성하거나 캐노피가 넓은 수목은 제외하기
수분매개체의 은신처가 될 수 있는 그라스류 또는 관목류 식물
시설물 모든 구획에 쉽게 관수할 수 있는 관개시설 설비하기
빗물을 재사용할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하여 환경친화적인 정원으로 관리하기
정원 도구 보관함, 관수 시설 배치 계획하기
기타 식물 생장을 고려하고 부지 환경과 식재 계획이 표현된 실시 설계도면 그리기
공동체정원의 운영 목적과 사회적 역할을 위한 프로그램 계획하기
시공 시공 준비 작업 공정표를 작성하고 시공 예산 계산 및 집행 계획 세우기
필요한 품목(자재, 장비, 식물재료) 구입하기
기반 작업 부지를 정리한 뒤 터파기, 정지 작업 진행하기
식재 공간과 관람 공간을 구분한 후 포장 공사하기
디자인 단계에서 계획한 구조물과 시설물 설치하기
식재 식물을 도면에 맞게 식재하고 멀칭(바닥덮기)하기
마무리 식물 관수와 주변 청소하기
관리 계획 주간/월간/연간/계절 기간 관리 계획 수립하기
도구와 자재 필요한 도구와 자재를 구매하고 비치하기
식물 식물 종별 관수, 시비, 멀칭 방법 숙지하고 진행하기
식물 종별 증식, 이식, 보식 방법 및 시기 숙지하고 진행하기
식물 종별 병해충 방제, 전정 방법 및 시기 숙지하고 진행하기
정원 내부 예초 및 제초 작업하기
외래 침입종 제거 계획하기
농약 살포 지양을 위해 친환경 방제 진행하기
정원 폐기물 고사 식물체, 낙엽 등 폐기물 발생량을 줄이기 위해 퇴비 만들어 사용하기
화분 등 폐기물 분리수거 하기

7. 참고 자료

  1. Jo IS and Choi JM (2019) A study on the operation of the sustainability of community garden. Residential Environ. Inst. of Korea 17: 91-107. doi: 10.22313/reik.2019.17.4.91
  2. Bill M (2015) Community gardening toolkit. University of Missouri Extension
  3. Yvonne Savio, Common Ground Garden Program Manager, UCCE (2001) Community garden start-up guide. Common Ground Garden Program, University of California Cooperative Extension, Los Angeles County
  4. 국립수목원 참고자료(정원 분류 및 유형 도출)

8. 사례

차례보기
close

차례

정원 유형목록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