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

수분매개체정원은 인류의 자연 파괴로 서식처를 잃어가는 벌·나비 등 수분매개체를 위한 정원으로, 야생화를 활용한 생태 친화적 디자인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토지 개간, 서식지 파괴, 농업 관행의 변화, 제초제 및 살충제 사용, 무분별한 외래 식물 및 수분매개체 도입 등은 수분매개체의 개체 수가 급속히 감소한 원인이 되었습니다. 이는 식물 대부분이 열매와 종자를 만드는 필수 과정인 식물 수분(pollination)에 큰 악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수분매개체정원은 이런 수분매개체의 활동성 증가와 이들의 생태적 중요성을 대중에게 교육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성됩니다. 수분매개체정원 조성 계획은 각 수분매개체의 선호 식물 종 특성에 대한 이해가 밑바탕이 되어야 합니다. 각 수분매개체는 생활에 필요한 에너지량, 형태적 특성, 감각 체계가 상이하며, 그로 인해 선호하는 식물 종 역시 다르기 때문입니다.

2. 유래 및 역사

워싱턴 D.C에 있는 스미스소니언 박물관(Smithsonian American Art Museum)의 나비서식지정원은 1995년 스미스소니언 여성 위원회의 모금 활동으로 조성되었습니다. 이후 2016년 수분매개체정원으로 전환·발전했습니다. 스미스소니언 박물관의 나비서식지정원은 대중에게 다양한 수분매개체를 알리고 유익한 자생식물과의 관계를 강조하기 위해 관리되고 있습니다.

3. 용도 및 기능

① 환경적 기능

수분매개체정원은 멸종 위기의 수분매개체를 천적과 분리·보전하여 효과적인 수분 활동을 돕습니다. 이는 식물의 개화에서 결실에 이르는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수분매개체의 개체군과 종 다양성을 보전하는 생태보존 활동이기도 합니다.

② 경제적 기능

효과적인 수분 활동을 위해서는 정원 내 해충 발생과 식물의 질병 발생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농약의 사용을 지양해야 합니다. 농약의 제한적 사용은 화학물질로 인한 토양 및 수질 오염이나 복원 필요성을 줄여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③ 심미적 기능

도심 내 생태보존을 위해 조성한 수분매개체정원은 단조로운 도시 경관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4. 구조 및 구성

① 식재

정원 내 수분매개체의 개체를 유지·관리하려면 반드시 은신처와 먹이가 제공되어야 합니다. 특히 먹이로는 원예종 사용을 지양하고 해당 지역에서 수분매개체와 함께 진화해 온 자생식물을 주로 식재하여 꿀과 꽃가루가 충분히 공급되도록 합니다. 또한, 수분매개체를 유인하기 위해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이 많이 발생하는 식물을 심는 것이 좋습니다.

수분매개체 수분 활동

② 서식처

낙엽이나 나무로 만든 벌집 등 인공 둥지를 정원에 배치하면 수분매개체의 은신처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인근 도시나 농장으로 수분매개체를 유인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수분매개체가 선호하는 은신처의 특징도 종별로 상이합니다.

수분매개체 종별 선호 은신처 특성
벌(유충 단계) 땅속이나 목재 내부에서 생활
나비(유충 단계) 특정 식물을 주요 영양 공급원으로 삼음
벌새 교목이나 관목 내부에 둥지 조성
박쥐 따뜻하고 좁은 공간을 은신처로 이용
수분매개체 정원 조성 및 관리 특성

5. 추천 식물 특성

① 꽃가루와 꿀 생산량이 많고 개화 시기가 다른 식물

개화 시기가 다른 식물 종을 조화롭게 식재하면 수분매개체에게 은신처와 꿀, 꽃가루 등을 제공하여 방문과 서식을 유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수분증후군(pollination syndrome)에 맞춰 다양한 색과 형태, 향기를 가진 야생종을 활용하면 수분매개체와 식물이 공존하는 지속 가능한 생태환경이 조성됩니다.

② 내한성이 강한 식물

다년생 숙근초나 관목이 매년 꽃을 피우려면 야외 정원 환경의 혹독한 추위를 견딜 수 있어야 합니다. 수분매개체정원에 심을 식물로는 각 지역의 기후에 따라 적절한 내한성을 가진 종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추천식물

큰꿩의비름(Hylotelephium spectabile), 골등골나물(Eupatorium lindleyanum), 톱풀(Achillea alpina), 좀개미취(Aster maackii), 백선(Dictamnus dasycarpus), 마타리(Patrinia scabiosifolia), 고삼(Sophora flavescens), 산국(Chrysanthemum boreale), 산초나무(Zanthoxylum schinifolium), 묏미나리(Ostericum sieboldii)

6. 정원 조성 방법

정원은 구상-디자인-시공-관리 단계를 거쳐 조성됩니다. 각 과정에서 유의해야 할 사항들이 잘 고려되었는지 아래 표를 통해 점검해 보시기 바랍니다.

구상 목적과 이용자 설정 정원의 용도와 목적, 주 이용자 설정하기
희망하는 정원 양식과 관리도 결정하기
부지 분석 및 규정 확인 부지의 평면도를 작성하고 환경조사와 분석(디자인, 식물 선정)하기
디자인 디자인 국내 환경을 고려한 수분매개체정원 조성 사례 이미지 또는 식재 도면 확보하기
수분매개체의 연중 생활 특성을 이해하기
공간 땅벌 등 토양 내에 서식처를 형성하는 수분매개체를 위한 토양 지면 확보하기
키 큰 그라스류를 수분매개체의 서식처로 확보하기 위한 비제초 구역 확보하기
식재 구역과 관람 동선 분리하기
구조물 벌 호텔, 새 둥지 등 수분매개체를 위한 천연재료의 인공 서식지 고려하기
수분매개체 서식을 방해하는 플라스틱 소재를 제거한 후 멀칭(바닥덮기)하기
식재 꽃가루와 꿀 등을 제공하는 자생식물
개화 시기가 다양한 다년생 식물
병해충을 막는 화학물질 사용 지양을 위해 내병성이 강한 식물
제초 빈도를 낮추기 위한 경합 능력과 길이 생장이 우수한 식물
수분매개체의 은신처가 될 수 있는 그라스류 또는 관목류 식물
연중 개화를 고려하여 개화 시기가 다양한 식물
시설물 수분매개체의 생식 활동을 고려한 수경 시설물(분수, 폭포 등) 계획하기
정원 도구 보관함, 관수 시설 배치 계획하기
기타 식물 생장을 고려하고 부지 환경과 식재 계획이 표현된 실시 설계도면 그리기
시공 시공 준비 작업 공정표를 작성하고 시공 예산 계산 및 집행 계획 세우기
필요한 품목(자재, 장비, 식물재료) 구입하기
기반 작업 부지를 정리한 뒤 터파기, 정지 작업 진행하기
식재 공간과 관람 공간을 구분한 후 포장 공사하기
디자인 단계에서 계획한 구조물과 시설물 설치하기
식재 식물을 도면에 맞게 식재하고 멀칭(바닥덮기)하기
마무리 식물 관수와 주변 청소하기
관리 계획 주간/월간/연간/계절 기간 관리 계획 수립하기
도구와 자재 필요한 도구와 자재를 구매하고 비치하기
식물 식물 종별 관수, 시비, 멀칭 방법 숙지하기
식물 종별 증식, 이식, 보식 방법 및 시기 숙지하기
식물 종별 병해충 방제, 전정 방법 및 시기 숙지하기
정원 내부 예초 및 제초 작업하기
외래 침입종 제거 계획하기
농약 살포 지양을 위해 친환경 방제 진행하기
정원 폐기물 고사 식물체, 낙엽 등 폐기물 발생량을 줄이기 위해 퇴비 만들어 사용하기
화분 등 폐기물 분리수거 하기

7. 참고 자료

  1. 국립수목원 웹진Vol. 137 : 정원이야기 (생활밀착형 정원 이야기, 폴리네이터 가든)
  2. Lee E (2021) Pollinator Gardens and Their Significance Honors Theses. 872
  3. Smithsonian Gardens website
  4. The Xerces Society website

8. 사례

차례보기
close

차례

정원 유형목록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