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

치유정원은 정원을 찾는 사람들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정신적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된 야외 정원입니다. 설계 시에는 자연의 치유 요소와 이용자가 직접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데에 초점을 맞춥니다. 현대 사회에서는 정원의 다양한 역할 중 심신의 치유와 회복 역할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이에 치유정원은 활성화정원, 재활정원, 회복정원 등으로 세분화할 수 있으며, 가벼운 스트레스 조절부터 질병 치료나 요양 목적의 치료정원으로 파생되기도 합니다.

2. 유래 및 역사

치유정원은 주로 수도원, 의료기관, 요양원 등 보호시설에서 사회 구성원의 복지 향상을 목적으로 조성되기 시작했습니다. 자연의 치유 요소와 인간의 상호작용을 증진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설계한 공간으로, 디자인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수동적 형태와 능동적 형태로 구분됩니다. 오늘날에는 산책, 야외 활동, 원예치료를 비롯해 정원 관리 활동을 통한 스트레스 회복과 건강 향상 등을 목적으로 폭넓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3. 용도 및 기능

① 임상적 기능

자연 요소는 인간과의 직접 접촉이나 시각적인 간접 접촉을 통해 스트레스 감소, 긴장 이완, 회복 탄력성을 유도합니다. 치유정원의 자연과 식물을 근접 거리에서 관찰하는 것만으로도 심장 수술 환자의 정서적 안정감이 개선되었다는 결과가 알려져 있습니다.

② 치유적 기능

치유정원에서 정원 활동과 원예치료 수업에 참여하면 환자의 건강에 이로움은 물론 신체적·정서적 회복에도 도움이 된다는 사실이 보고된 바 있습니다. 환자가 건강 문제에서 시선을 돌려 정원에 무의식적으로 흥미를 갖게 함으로써 치료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③ 사회적 기능

환자와 보호자를 비롯해 다양한 병원 방문객의 관계를 개선하는 효용이 있으며, 일반인에게도 긍정적인 정서적 경험을 제공하여 집중력을 높이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회복 목적의 환경을 제공해 사회 구성원은 자신의 신체적·정신적·사회적 건강 상태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4. 구조 및 구성

① 물리적 및 교육적 요소

치유정원은 자연적·사회적 요소를 비롯해 공간별 성격과 기능 등의 목적에 따라 특수성을 가져야 하며 이용자가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합니다. 식물 및 비식물 요소를 적절히 배치해 재활과 치유 기능을 극대화하고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를 위한 편의 시설도 필수적입니다. 원예치료 수업을 진행한다면 원예치료사가 필요합니다.

치유정원의 특징적 구성요소
정원 요소 구성 내용
자연 및 자연적 요소 공원, 화단, (인공) 개울
사회적 요소 의자, 운동장, 산책길
선택적 요소 양지 및 음지, 연결된 보도, 경계 및 비경계 구역
스트레스 완화 요소 자연적 요소(산울타리 등), 예술품(조각 및 그림 등), 허브 식물, 새소리
기타 분수, 생물 관련 동상, 치료 목적 동선, 목재 구조물 등

② 환경 조성

치유정원은 의료시설 내부와 외부를 모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정원에서 주로 활용하는 허브, 채소류, 유실수를 재배하기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해야 하며, 온실을 포함한 실외(양지/반양지)와 실내(음지)에 따라 필요한 광환경 조건이 달라집니다.

치유정원의 다양한 형태

5. 추천 식물 특성

① 오감을 자극하는 식물

감각기관을 통해 경험하는 허브를 활용하면 스트레스 회복 및 정서적 안정 효과가 있는 만큼 다채로운 색감, 향기, 질감을 가진 식물이 적합합니다. 정원 곳곳에 채소류와 유실수를 배치하면 식용 가능 식물을 재배하고 수확하는 기쁨을 느낄 수 있습니다.

② 그늘 쉼터를 제공하는 식물

꽃나무나 덩굴식물을 활용하면 산책 중 휴식을 취하거나 앉아서 정원을 조망하는 쉼터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교목은 새가 둥지를 트는 보금자리를 제공하기에 정원에 새들을 유인하는 요소가 됩니다.

추천식물

배초향(Agastache rugosa), 섬바디(Dystaenia takesimana), 산국(Chrysanthemum boreale), 으름덩굴(Akebia quinata),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댕강나무(Zabelia tyaihyonii), 분꽃나무(Viburnum carlesii), 때죽나무(Styrax japonicus), 좀목형(Vitex negundo var. incisa)

6. 정원 조성 방법

정원은 구상-디자인-시공-관리 단계를 거쳐 조성됩니다. 각 과정에서 유의해야 할 사항들이 잘 고려되었는지 아래 표를 통해 점검해 보시기 바랍니다.

구상 목적과 이용자 설정 정원의 용도와 목적, 주 이용자 설정하기
희망하는 정원 양식과 관리도 결정하기
부지 분석 및 규정 확인 부지의 평면도를 작성하고 환경조사와 분석(디자인, 식물 선정)하기
디자인 디자인 국내 환경을 고려한 치유정원 조성 사례 이미지 또는 식재 도면 확보하기
주변 자연물과 건물 구조를 최대한 활용하기
공간 편안한 느낌의 산책로를 조성하기 위하여 소교목을 활용하여 외부공간과 구분하기
울타리를 적절히 설치하여 보행자의 안전성과 개방감 있는 공간 확보하기
식재 구역과 관람 동선 분리하기
구조물 스트레스 완화 요소로 다양한 동물(조류, 곤충 등) 유인 목적의 인공 서식지 배치하기
치유 효과 극대화를 위한 멀칭(바닥덮기) 및 울타리 등 자연소재 구조물 활용하기
식재 잎에 정유를 갖거나 꽃향기 특성이 우수한 자생식물
병해충 방지용 농약 사용 지양을 위해 내병성이 강한 식물
제초 빈도를 낮추기 위한 경합 능력과 길이 생장이 우수한 식물
수확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생장이 빠르고 열매를 맺는 식물
계절감을 느낄 수 있는 개화기가 다양한 식물
초본, 관목, 교목 조합으로 다층구조를 형성해 생태적으로 건전한 식재
시설물 치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수경 시설물(분수, 폭포 등) 계획하기
그늘 쉼터, 정원 도구 보관함, 관수 시설 배치 계획하기
기타 식물 생장을 고려하고 부지 환경과 식재 계획이 표현된 실시 설계도면 그리기
시공 시공 준비 작업 공정표를 작성하고 시공 예산 계산 및 집행 계획 세우기
필요한 품목(자재, 장비, 식물재료) 구입하기
기반 작업 부지를 정리한 뒤 터파기, 정지 작업 진행하기
식재 공간과 관람 공간을 구분한 후 포장 공사하기
디자인 단계에서 계획한 구조물과 시설물 설치하기
식재 식물을 도면에 맞게 식재하고 멀칭(바닥덮기)하기
마무리 식물 관수와 주변 청소하기
관리 계획 주간/월간/연간/계절 기간 관리 계획 수립하기
도구와 자재 필요한 도구와 자재를 구매하고 비치하기
식물 식물 종별 관수, 시비, 멀칭 방법 숙지하기
식물 종별 증식, 이식, 보식 방법 및 시기 숙지하기
식물 종별 병해충 방제, 전정 방법 및 시기 숙지하기
정원 내부 예초 및 제초 작업하기
외래 침입종 제거 계획하기
농약 살포 지양을 위해 친환경 방제 진행하기
정원 폐기물 고사 식물체, 낙엽 등 폐기물 발생량을 줄이기 위해 퇴비 만들어 사용하기
화분 등 폐기물 분리수거 하기

7. 참고 자료

  1. Zhwiderska A and Salachna P (2019) Horticultural therapy in the landscape architecture: Therapeutic garden. World Scientific News 132: 300-307
  2. 탁영란 (2014) 정원의 회복탄력성: 의료시설의 치유정원.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논총 53: 35-43
  3. Belcakova I, Galbava P, Majorosova M (2018) Healing and therapeutic landscape design Examples and experience of medical facil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Architectural Research 12: 128-151

8. 사례

차례보기
close

차례

정원 유형목록 돌아가기